본문 바로가기
  • 살짝 구운 김 유나

CS13

[컴퓨터일반] 데이터 통신론, 인터넷 요약 2022. 12. 12.
[Network] HTTP 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 1XX (정보) :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 2XX (성공)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 수용 3XX (리다이렉션) :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 필요 4XX (클라이언트 오류)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5XX (서버 오류) :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 실패 1XX : Information responses "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한다 " Code 의미 100 Continue (계속) 현재까지의 진행상태에 문제가 없으며,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요청하거나 이미 요청을 완료한 경우에는 무시해도됨 101 Switching Protocol (프로토콜 전환) 요청자가 서버에 프로토콜 전환을 요청했으며 서버는 이를 승.. 2022. 10. 24.
[Network] GET과 POST GET, POST 모두 다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어떤 것을 요청할 때 사용! -> 둘의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여 알맞게 사용해야 한다. GET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 요청하는 데이터가 HTTP request Message의 헤더 부분에 url이 담겨서 전송된다. 이 때,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며 전송! ?key1=value1&key2=value2.. 형식으로 이어붙이면된다. (이 부분을 쿼리스트링이라고 함) www.example.com/gogo?key1=value1&key2=value2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용도이지 서버의 값이나 상태 등을 변경하지 않는다!! GET 방식의 특징 url 이라는 공간에 담기기 때문에 전송.. 2022. 10. 20.